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세오경12

창세기 9장 강해 설교 창세기 9장 강해 설교창세기 9장은 홍수 심판 이후 하나님께서 새로운 질서를 세우시고, 노아와 그의 아들들과 맺으시는 언약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은혜가 어떻게 심판 이후에도 계속되는지를 보여주며, 인간에게 주어진 새로운 책임과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 그리고 인간의 연약함 속에서도 지속되는 하나님의 섭리를 드러냅니다.새 창조의 명령과 질서(1-7절)하나님께서 노아와 그의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말씀하십니다.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1절). 이 명령은 창세기 1장에서 아담과 하와에게 주셨던 명령과 동일한 것입니다. 즉, 노아와 그의 가족은 새 인류의 시조로서 아담의 위치를 다시 부여받은 것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홍수 이전의 창조 세계를 완전히 폐기하신 것이 아니라, .. 모세오경/창세기 2025. 4. 1.
창세기 8장 강해 설교 창세기 8장 강해 설교창세기 8장은 심판의 물이 물러가고, 하나님께서 새로운 시작을 마련하시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께서 기억하시는 하나님이심을 강조하며, 구속의 역사 속에서 심판 이후의 회복과 언약, 그리고 예배가 어떻게 자리 잡는지를 보여줍니다. 방주 안의 시간이 끝나고, 새로운 땅 위에 다시 하나님의 백성이 살아갈 자리로의 전환이 이뤄지는 이 장은, 오늘날 우리의 회복과 순종의 삶에 대해 중요한 통찰을 줍니다. 하나님이 기억하신다 (1-5절)8장 1절은 심오하고 은혜로운 선언으로 시작합니다. "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들짐승과 가축을 기억하사." 여기서 "기억하다"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자카르"(זָכַר)로, 단순히 과거의 일을 떠올리는 행위가 아니라, 언약에 .. 모세오경/창세기 2025. 4. 1.
창세기 7장 강해 설교 창세기 7장 강해 설교하나님께서 인류의 죄악을 심판하시기로 작정하시고, 노아를 통해 구원의 방주를 준비하게 하신 이야기는 창세기 7장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이 장은 단순히 과거의 한 사건을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 인간의 순종과 구원이라는 복음의 큰 그림을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강하게 전해줍니다.하나님의 명령과 방주의 완성 (1-5절)창세기 7장 1절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여호와께서 노아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온 집은 방주로 들어가라." 이 말씀은 단순한 명령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언약 안에 있는 자에게만 허락되는 구원의 초대입니다. 노아가 의인이었고 당대에 완전한 자였기에 구원을 받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그 언약에 참여했기 때문에 방주에 들어갈 수 있었습.. 모세오경/창세기 2025. 4. 1.
창세기 6장 강해 창세기 6장 강해창세기 6장은 인류의 죄악이 극에 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이중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인간의 타락이 사회 전반에 퍼져 하나님의 탄식과 심판을 불러오지만, 그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하나님은 노아를 통해 구원의 길을 여십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공의와 은혜가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본문이며, 홍수 심판과 그에 앞서 준비된 방주는 신약에서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예표하는 중요한 구속사적 사건으로 해석됩니다.1. 죄의 확산과 하나님의 한탄 (6:1-7)“사람이 땅 위에 번성하기 시작할 때에 그들에게서 딸들이 나니”(6:1)라는 표현으로 시작하는 본문은, 인류의 수적 증가가 도리어 죄악의 확산으로 이어지는 역설적인 상황을 보여줍니다. 본문에서 ‘하나.. 모세오경/창세기 2025. 3. 27.
창세기 5장 강해 창세기 5장 강해창세기 5장은 아담으로부터 노아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족보처럼 보이지만, 이 계보 속에는 하나님의 구속사적 흐름과 인간의 실존적 고뇌, 그리고 그 속에서 이어지는 신앙의 유산이 담겨 있습니다. 죄로 인해 죽음이 세상에 들어왔지만, 여전히 하나님의 은혜는 약속된 계보를 통해 역사하고 계십니다. 이 장은 단순한 이름의 나열이 아닌, 신앙의 계승과 소망의 끈을 잇는 고백입니다.1. 하나님의 형상과 인간의 현실 (5:1-5)“이것은 아담의 계보를 적은 책이니라.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시되”(5:1)라는 말씀은 창세기 1장의 창조 기사를 회상하게 합니다. ‘형상’은 히브리어로 ‘첼렘’(צֶלֶם)이며, 인간이 하나님의 대표자요.. 모세오경/창세기 2025.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