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들 앞에서 손을 씻는 비겁한 빌라도
빌라도의 손 씻음과 우리의 신앙
빌라도의 선택과 인간의 책임
마태복음 27장 24절에는 예수님을 재판한 총독 빌라도가 군중의 소란을 보고 물을 가져다가 손을 씻으며 "이 사람의 피에 대하여 나는 무죄하니 너희가 당하라"라고 선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구절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을 넘어서, 인간의 책임과 선택, 그리고 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말씀입니다.
빌라도는 예수님께서 죄가 없음을 알았지만, 유대 지도자들의 압력과 군중들의 외침에 굴복하였습니다. 그의 행동은 자신이 결정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었고, 손을 씻음으로써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손을 씻는다고 해서 죄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물이 손을 씻을 수는 있어도, 마음과 양심까지 정결하게 하지는 못합니다.
우리도 빌라도처럼 중요한 순간에 책임을 회피하려는 유혹에 빠질 때가 많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을 감당하는 대신, 침묵하거나, 상황을 모면하려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하려 합니다. 그러나 신앙은 결정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사순절을 보내며, 우리가 빌라도처럼 손을 씻으며 책임을 회피하려 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예수님의 침묵과 구속의 의미
빌라도가 손을 씻을 때, 예수님은 그 장면을 조용히 바라보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변호하지 않으셨고, 침묵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셨습니다. 마태복음 27장 14절에서도 "한 마디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총독이 크게 놀라" 했습니다. 예수님은 억울한 상황에서도 인간적인 변명을 하지 않으셨고,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길을 묵묵히 걸어가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침묵은 곧 순종입니다. 우리는 억울한 일을 당할 때, 불이익을 겪을 때, 때로는 스스로를 변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침묵 속에서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기셨습니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신앙의 본을 보여줍니다. 사순절은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침묵과 순종을 묵상하며, 우리의 삶도 그분처럼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변호할 힘이 없어서가 아니라, 고난을 통해 우리를 구속하시려는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침묵하셨습니다.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감당하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의 뜻에 대한 순종을 결단해야 합니다.
죄의 책임과 인간의 반응
빌라도가 손을 씻으며 "나는 무죄하다"라고 선언했을 때, 유대인들은 "그 피를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돌릴지어다"(마태복음 27:25)라고 응답하였습니다. 이는 그들의 분노와 완고함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아이러니하게도, 예수님의 피가 그들뿐 아니라 모든 인류를 구속하는 피가 되었음을 암시합니다.
우리도 종종 죄의 책임을 회피하거나, 다른 사람을 정죄하는 태도를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피는 우리를 위한 속죄의 피이며, 누구든지 회개하고 믿는 자들에게 구원의 길을 여시는 은혜의 피입니다. 사순절을 보내며, 예수님의 피가 우리를 정결하게 하고, 회개하는 자들에게 참된 생명을 주신다는 사실을 깊이 묵상해야 합니다.
죄를 지은 것은 우리이며, 십자가를 지신 것은 예수님이십니다. 하지만 우리는 예수님의 십자가 앞에서 침묵하며, 회개의 자리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분의 희생을 기억하며, 우리의 죄를 정직하게 인정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것이 사순절을 보내는 올바른 태도입니다.
결론
마태복음 27장 24절에서 빌라도가 손을 씻은 행위는 단순한 물리적인 행동이 아니라, 인간의 책임 회피와 죄의식의 모순을 드러내는 장면입니다. 손을 씻는다고 죄의 책임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참된 회개와 믿음을 통해서만 죄가 용서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침묵 속에서 고난을 감당하시며 우리의 구원을 이루셨고, 그분의 피는 우리를 정결하게 하는 은혜의 피가 되었습니다.
사순절을 보내며, 우리는 빌라도처럼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처럼 순종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예수님의 십자가를 깊이 묵상하며, 그분의 은혜로 변화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사순절의 의미를 온전히 깨닫고, 예수님의 고난과 사랑을 묵상하며 우리의 신앙을 더욱 굳건히 세워가는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성경인물연구 > 성경인물(신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행전 안에서의 안드레 사건별 역사 (0) | 2024.12.31 |
---|---|
사도행전에서의 야고보의 역할 (0) | 2024.12.31 |
사도행전에서의 요한의 역할 사건별 정리 (0) | 2024.12.31 |
사도행전에서 베드로의 활동 정리 (0) | 2024.12.31 |
세례 요한의 생애와 믿음 (0) | 2021.09.25 |
발람과 니골라당의 교훈 (0) | 2021.09.25 |
[성경인물연구-신약] 요셉(Joseph) (0) | 2021.01.13 |
[성경인물연구-신약] 마리아(Mary, Μαρία) (0) | 2019.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