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28 [성서동물] 갈매기 [성서동물] 갈매기 갈매기는 성경 속에서 딱 한 번 등장하는 중요하지 않는 동물입니다. 신명기 14:15에 두 번째 등장하지만 레위기 11장의 반복일 뿐입니다. 조류에 속하며 바다에서 생활합니다. 먹지 못하는 부정한 새 중의 하나입니다. 레위기 11:13-19 13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14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15 까마귀 종류와 16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17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18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19 황새와 백로 종류와 오디새와 박쥐니라 우리는 갈매기가 왜 먹지 못하는 부정한 짐승으로 취급 받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학자들은 레위기에 등장하는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9. 더보기 ›› 조직신학개요 3. 어떻게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가? 3. 어떻게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가? 이제 어떤 마음과 자세로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앞서 말했지만 교리는 우리가 선입관을 가지고 생각하는 딱딱하고 배울 필요가 없는 복잡한 것이다. 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교리는 성경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한 것입니다. (1) 기도로 교리를 공부해야 합니다. 정말 단순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바로 기도입니다. 기도는 하나님께 우리의 부족함과 연약함을 알고 가르쳐 달라고 간구하는 것입니다. 즉 기도는 말씀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또는 마음가짐을 말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우리의 마음과 지성을 열어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게 해달라고 간구해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자신의 눈을 열어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해달라고 기도드립.. 조직신학 2019. 10. 8. 더보기 ›› [성서동물] 가마우지(cormorant) [성서동물] 가마우지(cormorant) 가마우지는 가마우지과의 물새입니다. 부리가 길며 황색입니다. 물고기를 잡기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어 수영도 잘합니다. 물가와 호숫가에 서식합니다. 몸은 검고 등에 푸른빛이 돕니다. 날개의 길이가 30cm 정도 되어 펼칠 경우 70cm 정도 됩니다. 철새이며 갈릴리와 요단강 근방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율법에 의하면 부정한 짐승입니다. 레위기 11:13-29 13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14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15 까마귀 종류와 16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17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18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19 황새와 백로 종류..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8. 더보기 ›› 성서 속 동물 목록표 성서 속 동물 목록표 성서에 나오는 동물 목록표입니다. 이곳에서는 이름과 간략한 정보만을 제공합니다. 각 동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카테고리 [성경 동물]에 올라와 있는 개별 동물을 찾아 보시면 됩니다. 목록은 계속 추가됩니다. [동물류] -포유류 가축 개(Canis familiaris) 고슴도치(Erinaceus) 또는 호저(豪 : Hystrix) 고양이 곰(Ursus Syriacus) 꽃사슴, 담황록(淡黃鹿 : Cervus Dama) 낙타(Camelus dromedarius) 노루(Cervus pygargus) 노새(Eqqus asinus var mulus) 늑대,이리(Canis lupus) 당나귀(Eqqus asinus) 돼지(S. scrofa domestica) 들소(Box primigenius)..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8. 더보기 ›› 조직신학개요 2.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조직신학개요, 2.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교리란 무엇인가? 우리는 교리 교리 하는데, 진짜 교리가 뭘까요? 교리는 영어로 ‘doctrine’입니다. 먼저 교리가 무엇인지 정의한다면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교리의 다른 말은 요리라고도 합니다. 교리(敎理)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가르쳐야할 이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전적 정의는 성경적 의미와 약간 다릅니다. 먼저 상식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교리’인 ‘신론’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신론의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와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셨는가?’입니다. 앞서 말씀 드린대로 조직신학은 성경신학의 토대 위에 있다고 했습니다. 교리란 성경 신학을.. 조직신학 2019. 10. 5. 더보기 ›› 조직신학개요 1. 조직신학이란 무엇인가? 조직신학개요 1. 조직신학이란 무엇인가? 1) 조직신학 정의 조직신학이란 성경에 나타난 다양한 주제들을 모아 정리해 엮은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에 대한 주제를 한 곳에 모아 다시 정리한 것을 신론이라고 말합니다. 웨인 그루뎀은 조직신학을 이렇게 정의합니다. “조직신학이란 어떤 일정한 주제들에 관해서 성경 전체가 오늘날 우리에게 가르치고 있는 바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려는 모든 연구 내용이다.” 이것은 존 프레임의 것을 인용한 것으로 그루뎀 역시 동의합니다. 이곳에서 제가 하려는 것은 복잡한 조직 신학을 정리하고 다시 일반 성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하는 것입니다. 조직신학은 성경 신학의 토대 위에 있습니다. 성경 신학은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으로 구분합니다. .. 조직신학 2019. 10. 4. 더보기 ›› 사도행전 개론 사도행전 개론 1. 제목 ‘사도행전’이란 제목은 고대 사본에서도 발견됩니다. 이것을 볼 때에 사도행전은 처음 쓰였을 때부터나, 아니면 기록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붙여졌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러나 책 자체에 제목이 붙은 것은 아니고 교회 안에서 불린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이름으로 보입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 사본중 하나인 파피루스 45와 시나이 사본에도 ‘사도’ 없이 ‘행전’으로만 되어있습니다. 아마도 모든 사도들이 기록되지 않았고,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복음이 로마까지 전파되는 과정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2세기에 들어서 ‘사도들의 행전’으로 불리다가 다시 ‘사도행전’으로 고정되었습니다. 2. 저자 저자에 대한 논의는 거의 불필요해 보입니다. 사도행전 1:1-4에서 누가는 자신이 .. 복음서/사도행전 2019. 10. 2. 더보기 ›› 마태복음 2:13-23 애굽에서 아들을 부르다 2:13-23 애굽에서 아들을 부르다 [본문 읽기] 2:13 그들이 떠난 후에 주의 사자가 요셉에게 현몽하여 이르되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일어나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피하여 내가 네게 이르기까지 거기 있으라 하시니 2:14 요셉이 일어나서 밤에 아기와 그의 어머니를 데리고 애굽으로 떠나가 2:15 헤롯이 죽기까지 거기 있었으니 이는 주께서 선지자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애굽으로부터 내 아들을 불렀다 함을 이루려 하심이라 2:16 이에 헤롯이 박사들에게 속은 줄 알고 심히 노하여 사람을 보내어 베들레헴과 그 모든 지경 안에 있는 사내아이를 박사들에게 자세히 알아본 그 때를 기준하여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 2:17 이에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바 2:18 라마에서.. 복음서/마태복음 2019. 10. 1. 더보기 ›› 마태복음 2:1-12 왕의 귀환 마태복음 2:1-12 왕의 귀환 [본문 읽기] 2:1 헤롯 왕 때에 예수께서 유대 베들레헴에서 나시매 동방으로부터 박사들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말하되 2:2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하니 2:3 헤롯 왕과 온 예루살렘이 듣고 소동한지라 2:4 왕이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서기관들을 모아 그리스도가 어디서 나겠느냐 물으니 2:5 이르되 유대 베들레헴이오니 이는 선지자로 이렇게 기록된 바 2:6 또 유대 땅 베들레헴아 너는 유대 고을 중에서 가장 작지 아니하도다 네게서 한 다스리는 자가 나와서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리라 하였음이니이다 2:7 이에 헤롯이 가만히 박사들을 불러 별이 나타난 때를 자세히 묻고 2:8 베들레헴으로 보내며 이.. 복음서/마태복음 2019. 10. 1. 더보기 ›› 마태복음 1:18-25 예수의 탄생 마태복음 1:18-25 예수의 탄생 [본문 읽기] 1:18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1:19 그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라 그를 드러내지 아니하고 가만히 끊고자 하여 1:20 이 일을 생각할 때에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이르되 다윗의 자손 요셉아 네 아내 마리아 데려오기를 무서워하지 말라 그에게 잉태된 자는 성령으로 된 것이라 1:21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1:22 이 모든 일이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이르시되 1:23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복음서/마태복음 2019. 9. 29. 더보기 ›› 마태복음 1:1-17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마태복음 1:1-17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본문 읽기] [마]1: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마]1:2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마]1: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마]1:4 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나손을 낳고 나손은 살몬을 낳고 [마]1: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마]1:6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마]1:7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사를 낳고 [마]1:8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요람은 웃시야를 .. 복음서/마태복음 2019. 9. 28. 더보기 ›› [성경의 역사] 5) 분열왕국 시대(B.C. 931-722) [성경의 역사] 5) 분열왕국 시대(B.C. 931-722) 기원전 931년 솔로몬이 죽고 아들 르보호암이 이스라엘의 왕위를 물려받지만 강압적인 통치로 인해 북쪽의 열 지파가 여로보암을 왕으로 삼고 분리된다. 결국 이스라엘은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의 분단된 형태로 마지막까지 가게 된다. 여로보암은 벧엘과 단에 송아지 우상을 세우고 하나님을 예배하도록 한다. ‘여로보암의 길’로 불리는 북 이스라엘 지파는 우상숭배로 인해 결국 기원전 722년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한다. 남유다는 다윗의 후손들이 왕이 됨으로 ‘다윗의 길’을 걷는다. 그러나 결국 그들도 우상숭배에 빠져 586년 앗수르를 멸망시킨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한다. 70년의 유배 생활을 끝내고 기원전 516년 솔로몬 성전에 이어 두 번째 성전인 스룹바벨 성전.. 성경개론 2019. 9. 27. 더보기 ›› [성경의 역사] 4) 통일왕국시대(1050-930) [성경의 역사] 4. 통일왕국시대(1050-930) 사사시대는 이스라엘의 완전한 종말을 보는 듯한 긴장감을 가져온다. 앞으로 이스라엘은 어떻게 될 것인가? 하나님의 나라는 이것으로 실패할 것인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은 실패할 수 있으나 하나님은 실패할 수 없음을 다음의 역사를 증명한다. 하나님께서는 어둠의 사사시대 속에서 모압 여인 룻을 통해 다음 시대의 서막을 알린다. 사사시대의 마지막은 사무엘상에서 시작된다. 엘리 제사장을 통해 불임의 여인 한나가 임신하게 되고, 한나는 마지막 사사 사무엘을 낳음으로 이스라엘의 왕국시대를 열게 된다. 사무엘은 장로들의 요청에 의해 초대 왕인 사울을 세우나(B.C. 1050) 버림을 받는다. 사울왕(B.C. 1050-1010) 사울은 베냐민 지파이며 .. 성경개론 2019. 9. 2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60 61 62 63 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