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회생활32 수능 격려 메시지 수능 격려 메시지 내일 수능일입니다. 엊그제 고등학교에 입학한 것 같은데 벌써 수능일이라니! 그동한 수고한 자녀들에게 멋진 메시지 보내드립시다. 내일이 오기 전에 보내시면 좋겠네요. 수능 당일 이른 아침이나, 전일 오후에 보낸다면 좋습니다. 그동한 수고한 학생들이 힘이 나도록 격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능생 격려 성경 구절은 [이곳]에 있습니다.] * 00야 그동안 수고 많이했어. 내일은 기쁘고 즐거운 날이 될거야. 마음을 담아 파이팅을 외친다! * 수고했어! 예쁜 우리 딸 멋진 아들 내일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고 즐거운 날이 될거야! 힘내자 파이팅! * 00야 그동안 최선을 다한 너에게 박수를 보낸다. 지금까지 한 수고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아름다운 열매로 보상받을 날이 될거야. 사랑한다! 잘 찍.. 교회생활/교회학교자료 2019. 11. 13. 더보기 ›› [교회 절기 이해] 대림절(待臨節, Advent)이란? [교회 절기 이해] 대림절(Advent)이란? 대림절은 성탄절이 오기전 4주 동안을 말합니다. 2019년 대림절은 12월 1일부터 12월 24일까지입니다. 대림절은 대강절, 강림절로 불립니다. 한 해의 교회력은 대림절로 한 해를 시작하기 때문에 11월 말이나 12월 첫주가 다음해 교회력의 첫 시기가 됩니다. 대림절은 중세 교회가 만든 것이 아니고 그레고리대제 때부터 교회 안에서 정착되었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초대교회 초기에는 부활절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러다 어느 4세기 정도 흐른 뒤 예수님의 오심을 기념하는 성탄절을 기념하기 시작합니다. 많은 학자들은 성탄절이 이방 종교의 영향을 받아 제정된 것으로 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사견이지만,.. 교회생활 2019. 11. 13. 더보기 ›› 2020년 교회력과 교회 절기 2020년 교회력과 교회 절기 2020년 교회력과 교회 절기를 표시한 한글 파일입니다. 한글 파일도 함께 첨부하니 각자 원하시는 대로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회력을 가톨릭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교회사를 잘 모르는 소리입니다. 비록 가톨릭의 것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교회력은 초대교회로부터 전승된 것입니다. 2020년 중요한 교회 절기입니다. 1월 5일 신년 감사주일 4월5일 - 11일 고난 주간 4월 10일 성 금요일 4월 12일 부활주일 5월3일 어린이주일 5월10일 어버이주일 5월31일 성령 강림주일 7월 5일 맥추감사주일 10월 25일 종교개혁주일 11월 15일 추수감사주일 12월 25일 성탄절 한글 파일은 이미지 하단에 첨부했습니다. 목회 일정과 설교일정 등을 교회력을 참고하여 .. 교회생활/교회학교자료 2019. 11. 13. 더보기 ›› 추수 감사 주일 행사 추수 감사 주일 행사 추수감사주일이 가까워 옵니다. 추수감사주일이 성경적이다 아니다를 떠나, 추수감사주일을 통해 하나님께 한 번 더 감사할 수 있다는 것은 좋다고 봅니다. 자 그럼 추수 감사주일에 할 수 있는 행사를 들을 몇 가지만 소개하고자 합니다. 1. 감사 편지 쓰기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행사입니다. 하나님께 감사 편지를 써보게 하십시오. 내용은 지금 내가 소유하고 있고, 누리고 있는 것들이 하나님의 선물인 것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하나님 저에게 부모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록 돈은 많지 않지만 부모님들을 통해 걱정 없이 살아가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등 개인적이고 사소한 고백도 좋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학교나 교회를 다닐 수 있어 감사할 수 도 있습니다. 만약 편지가 길어 쓰기 힘들다면.. 교회생활/교회학교자료 2019. 11. 9. 더보기 ›› 화장실 좋은 문구 화장실 좋은 문구 화장실에서 볼일? 보면서 보았던 좋은 문구들입니다. 물론 모든 문장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 의미있는 문장들리라 옮겨 봅니다.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도전하길 두려워하는 바 나는 스스로를 믿는다 -무하마드 알리 길을 걷다가 돌이 나타나면 약자는 그것을 걸림돌이라고 말하고, 강자는 그것을 디딤동이라고 말한다. -토마스 칼라일 괴로움이 남기고 간 것을 맛보아라. 고통도 지나고 나면 달콤한 것이다. -요한 볼프강 괴테 어른이 된다는 것은 조심스럽게 자기 내면의 서랍을 열고 그 안에 무엇이 담겨 있는지 확인하고 또 그 안에 새로운 것을 담아가는 과정임을 깨닫습니다. 김난도 [천 번을 흘들려야 어른이 된다] 중에서 배우라 너무 늙었다고, 보수적이라고 탓하지 마라. 너무 어리다고, 공상적이라.. 교회생활 2019. 11. 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