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28

[장별주해] 마태복음 2장 동방박사들의 경배 [장별주해] 마태복음 2장 동방박사들의 경배 동방으로부터 박사들이 경배하러 오다 2:1 헤롯 왕 때에 예수께서 유대 베들레헴에서 나시매 동방으로부터 박사들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말하되 헤롯 왕은 헤롯 대제의 아들 헤롯이다. 그는 죽고 헤롯 아켈라오가 유다를 통치한다. 동방는 구약에서 부정하고 이방인을 뜻했다. 이방인들이 예수님을 경배하러 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약속의 성취다. 2:2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하니 2:3 헤롯 왕과 온 예루살렘이 듣고 소동한지라 유대인의 왕은 헤롯이었다. 그런데 또 다른 유대인의 왕이 있다는 말에 경악했다. '소동하다'는 뜻은 놀라 경악하다는 뜻이다. 2:4 왕이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서기관들을 .. 복음서/마태복음 2020. 2. 12.
[장별주해] 마태복음 1장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 1: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마태복음 1장의 족보의 목적은 예수님을 소개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시작인 아브라함의 자손이며, 이스라엘의 왕인 다윗의 자손이다. 혈통적으로는 아브라함의 후손이며, 신분으로서는 왕의 후손이다. 1:2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들을 낳고 아브라함은 약속을 받오 갈대아 우르에서 가나안에 들어왔다. 이삭은 ‘웃다’는 뜻이다. 이삭의 이름에는 불신과 놀람의 이중적 의미가 스며있다.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열두 형제를 낳는다. 그러나 레위가 아들에서 빠짐으로 요셉의 아들인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추가되어 열두 지파의 기초가 된다. 1: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 복음서/마태복음 2020. 2. 12.
[성경의 단어 용례] 토브(좋았더라 완벽 아름다움) [성경의 단어 용례] 토브(좋았더라 완벽 아름다움) 토브는 창세기 1장에서 일곱 번 사용된 단어이다. 선, 아름답다, 완벽하다 등의 의미를 갖는다. 말씀으로 창조하신 '보시기에 좋았더라'에서 '좋았다'가 토브이다. 토브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창조의 목적대로 되는 것을 보시고 하신 말씀이다. 성경단어사전/성경단어용례 2020. 2. 12.
[성경의 단어 용례] 에레츠 , 땅 대지 기업 [성경의 단어 용례] 에레츠 , 땅 대지 기업 에레츠는 창세기 1:1에서 그 하늘들과 그 땅을 창조하셨다는 표현에서 처음 등장한다. 에레츠는 대체로 사람들이 거하는 땅, 기업으로 물려 받을 터전들을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 일반 적인 대지나 먼지와 다른 의미다. 일반적인 땅은 '아다마'를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에레츠는 물체가 아닌 정신적인 작용이나 사용의 필요에 의한 구분에 의해 사용된 단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창세기 1:11 '땅'은 에레츠이다. 1장에서 사용된 곳은 1,2,11,12,17,20,22,24,25,26,28,29,30, 성경단어사전/성경단어용례 2020. 2. 12.
창세기 장별 강해 창세기 1장 창세기 장별 강해 창세기 1장 1: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1:2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1:3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1: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 1:5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1:6 하나님이 이르시되 물 가운데에 궁창이 있어 물과 물로 나뉘라 하시고 1:7 하나님이 궁창을 만드사 궁창 아래의 물과 궁창 위의 물로 나뉘게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8 하나님이 궁창을 하늘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둘째 날이니라 1:9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하의 물이 한 곳으로 모이고 뭍이.. 모세오경/창세기 2020. 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