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12 [성서동물] 갈매기 [성서동물] 갈매기 갈매기는 성경 속에서 딱 한 번 등장하는 중요하지 않는 동물입니다. 신명기 14:15에 두 번째 등장하지만 레위기 11장의 반복일 뿐입니다. 조류에 속하며 바다에서 생활합니다. 먹지 못하는 부정한 새 중의 하나입니다. 레위기 11:13-19 13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14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15 까마귀 종류와 16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17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18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19 황새와 백로 종류와 오디새와 박쥐니라 우리는 갈매기가 왜 먹지 못하는 부정한 짐승으로 취급 받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학자들은 레위기에 등장하는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9. 더보기 ›› 조직신학개요 3. 어떻게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가? 3. 어떻게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가? 이제 어떤 마음과 자세로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앞서 말했지만 교리는 우리가 선입관을 가지고 생각하는 딱딱하고 배울 필요가 없는 복잡한 것이다. 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교리는 성경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한 것입니다. (1) 기도로 교리를 공부해야 합니다. 정말 단순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바로 기도입니다. 기도는 하나님께 우리의 부족함과 연약함을 알고 가르쳐 달라고 간구하는 것입니다. 즉 기도는 말씀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또는 마음가짐을 말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우리의 마음과 지성을 열어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게 해달라고 간구해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자신의 눈을 열어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해달라고 기도드립.. 조직신학 2019. 10. 8. 더보기 ›› [성서동물] 가마우지(cormorant) [성서동물] 가마우지(cormorant) 가마우지는 가마우지과의 물새입니다. 부리가 길며 황색입니다. 물고기를 잡기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발가락에 물갈퀴가 있어 수영도 잘합니다. 물가와 호숫가에 서식합니다. 몸은 검고 등에 푸른빛이 돕니다. 날개의 길이가 30cm 정도 되어 펼칠 경우 70cm 정도 됩니다. 철새이며 갈릴리와 요단강 근방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율법에 의하면 부정한 짐승입니다. 레위기 11:13-29 13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14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15 까마귀 종류와 16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17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18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19 황새와 백로 종류..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8. 더보기 ›› 성서 속 동물 목록표 성서 속 동물 목록표 성서에 나오는 동물 목록표입니다. 이곳에서는 이름과 간략한 정보만을 제공합니다. 각 동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카테고리 [성경 동물]에 올라와 있는 개별 동물을 찾아 보시면 됩니다. 목록은 계속 추가됩니다. [동물류] -포유류 가축 개(Canis familiaris) 고슴도치(Erinaceus) 또는 호저(豪 : Hystrix) 고양이 곰(Ursus Syriacus) 꽃사슴, 담황록(淡黃鹿 : Cervus Dama) 낙타(Camelus dromedarius) 노루(Cervus pygargus) 노새(Eqqus asinus var mulus) 늑대,이리(Canis lupus) 당나귀(Eqqus asinus) 돼지(S. scrofa domestica) 들소(Box primigenius).. 성경의세계/성경동식물 2019. 10. 8. 더보기 ›› 조직신학개요 2.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조직신학개요, 2.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교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교리란 무엇인가? 우리는 교리 교리 하는데, 진짜 교리가 뭘까요? 교리는 영어로 ‘doctrine’입니다. 먼저 교리가 무엇인지 정의한다면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교리의 다른 말은 요리라고도 합니다. 교리(敎理)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가르쳐야할 이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전적 정의는 성경적 의미와 약간 다릅니다. 먼저 상식적으로 ‘하나님에 관한 교리’인 ‘신론’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신론의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와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셨는가?’입니다. 앞서 말씀 드린대로 조직신학은 성경신학의 토대 위에 있다고 했습니다. 교리란 성경 신학을.. 조직신학 2019. 10. 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